사무엘상 15장은 사울왕이 완전히 하나님에게서 등을 돌리며 이제 돌아오지 못할 강을 건너면서도 여전히 정신 차리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증언합니다. 사무엘이 그렇게 경고했고 그의 나라가 찢어 질 것이며 하나님 앞에 버림을 받았다는 것을 듣고 나서도 하나님에게 온전히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말로는 내가 범죄 하였고 내가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은 것은 백성을 두려워하여 그들의 말을 청종했다며 정답을 이야기했지만 사울왕의 중심은 여전히 주님께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었는가 하면 사무엘에게 돌아가서 제사를 드리자고 요청하는 목적이 사람들 앞에 나를 높이기 위해서 였습니다. 끝까지 사울왕은 그의 제사와 예배가 하나님 앞에서 하나님을 높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사람들 앞에 자기를 높이는 도구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런 사울왕의 끝까지 무너지는 모습과 아각이라는 아말렉 왕을 쳐 죽이는 사무엘의 하나님 앞에서의 삶이 극명하게 대조 되고 있습니다. 오늘 말씀은 아말렉 왕 아각을 불러오라는 사무엘의 명령으로 시작합니다. 그런데 아각이 두려워하면서 온 게 아니라 즐거워하면서 오고 나는 이제 죽음에서 풀려날 거라고 착각합니다. 이런 착각의 배경은그건 사울의 의중이기도 했고 백성들의 말에 민감했던 민심의 뜻이 반영된 것이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사로잡아 왔는데 꼭 왕까지 죽일 필요는 있겠느냐…라는 민심의 뜻을 사울왕은 다 간파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하나님의 뜻에는 둔감하고 오로지 민심에 민감했던 사울왕은 아각 왕에게 아마 너는 곧 풀려날 거야…조금만 기다려…언지를 분명히 준 겁니다. 그래서 지금 사무엘에게 끌려 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각은 두려워 하는 기색은 전혀 없이 즐겁게 오는 거예요. 내가 풀려나는 시간이라고 착각하면서 그 자리로 오고 있는 것입니다. 이게 바로 사울왕과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 앞에서 무너지고 돌아오지 못한 강을 건너는 결정적인 모습인 것이죠 그런데 아말렉 왕 아각의 착각과는 달리 전혀 다른 모습으로 사무엘은 이를 접근하는 것입니다. 먼저 사무엘이 지금 이 아말렉 왕 아각을 죽이라고 말하신 하나님의 명령에 뜻이 무엇인가를 이야기합니다. 아말렉 민족이 출애굽한 이후에 이스라엘 백성들을 처음으로 친 민족이었고, 그것도 앞에서가 아니라 뒤에서 가장 약하게 뒤따라오는 노약자들, 여인들, 어린이들을 친 거죠. 힘없는 백성들을 뒤에서 몰래 친 악한 백성, 하나님의 구원사역을 방해하고 박해한 악한 백성이 바로 아말렉이었다는 것입니다. 그 아말렉의 왕 아각은 아말렉을 대표하는 지도자로, 하나님께서는 그 왕이 반드시 처단해야 된다고 명령하신 것을 상기시킵니다. 다시 말하면 사울왕과 이스라엘 백성들은 아말렉을 진멸하라는 하나님의 깊은 뜻, 아말렉이 살아 있으면 이스라엘에 얼마나 영적으로 해악이 되는지를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이죠. 아니 알았어도 하나님의 경고에 둔감해서, 사울왕은 백성의 민심을 따라간다는 명분으로 아말렉왕 아각을 살려 두려고 했던 것이 하나님 앞에 얼마나 불순종이었는지를 모르는 것입니다. 그 말이 끝나자 마자 사무엘의 손으로 아주 무섭고도 섬뜩한 일이 벌어집니다. 아말렉 왕을 칼을 뽑아 처단하는데 그냥 죽이는게 찍어서 쪼개 죽였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말렉 왕을 “여호와 앞에서” 죽였다는 것입니다. 그 죄를 단절하고 그 거짓과 변절을 단절 하며 하나님의 구원을 방해하고 박해하는 세력, 여호와 앞에서 악을 찍어 쪼개는 일로 순종하는 것입니다. 사울왕에게 제사는 사람들 앞에서 자신을 높이기 위해 쓰는 도구였는데 사무엘은 “여호와 앞에서” 아말렉 왕 아각을 찍어 쪼개 죽이는 겁니다. 결국 여호와께서 명령하신 아말렉과의 전투에서의 진멸이란 이렇게 여호와 앞에서 아각 왕을 찍어 쪼개듯이 아말렉이 더 이상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방해하는 것을 철저하게 진멸하라는 명령이자, 하나님의 백성들이 전염되지 않도록, 물들지 않게 하기 위한 하나님의 강한 처방이었던 것입니다. 사무엘은 지금 사울왕 앞에서 이게 하나님이 원하는 순종이었음을 정확하게 가르치시며 하나님 앞에서 악을 찍어 쪼개며, 아말렉과의 영적 전투를 마무리 하고 있는 것입니다. 결국 사무엘과 사울왕의 결정적인 차이는 누구 앞에서의 삶을 살고 있으며 누구 앞에서 예배를 드리고 있느냐…입니다. 사울왕은 처음에는 small, humble, faithful하게 하나님 앞에서의 예배, 하나님 앞에서의 삶을 살았습니다. 그러나 점점 하나님 앞에서 삶이 아니라 사람들 앞에서의 삶을 살며 심지어 예배도 사람들 앞에서 자기를 높이기 위한 도구가 돼 버렸습니다. 그런 사울왕을 경고하며 사무엘은 진짜 하나님 앞에서의 삶과 예배가 무엇인지를 몸으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사무엘의 위대함은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님 앞에서의 삶을 변질되지 않고 꾸준히 한결같이 나아가겠다는 것이고 사울왕은 비극은 변질되어 하나님 앞에서의 삶에서 등을 돌리고 떠나 갔다는데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사무엘과 사울왕은 죽는 날까지 다시는 얼굴 볼 일이 없는 사이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렇게 하나님 앞에서 아각왕을 찍어 쪼개고 돌아온 것이 마지막 만남이었습니다. 그리고 사무엘은 사울왕을 위해서 슬퍼 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사울을 왕 삼으신 것을 후회하심을 바라보며 마음이 찢어진 것입니다. 그렇게 사울왕은 이제 하나님의 공급하심이 떠난 자로, 사무엘의 영적 지도력에 보호를 받지 않는 자로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영적 내리막길 과 파멸을 향하여 달려가는 비참한 인생이 되어 버립니다. 저와 여러분들은 이 시간 누구 앞에서의 삶을 살고 계십니까? 저와 여러분들은 정말 사람들이 아닌 하나님 앞에서 예배를 드리고 계십니까? 사울왕과 같이 겉으로 멋지게 포장을 하지만 진심은 언제나 사람들 앞에서 나를 높이기 위한 예배 입니까? 아니면 사무엘과 같이 하나님 말씀에 토달지 않고 철저하게 순종하며 여호와 앞에서 드리는 예배입니까? 여호와 앞에서 주님을 붙드는 예배자가 되어야 끝까지 쓰임 받음을 잊지 마십시오. 사울왕의 변질과 무너짐의 길이 아니라, 사무엘의 끝까지 주님 앞에 쓰임 받는 길로 선명하게 나아가시기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Comments are closed.
|
아카이브
March 2025
카테고리 |